문제와 기회의 특성을 입체적으로 분석할 때는 문제와 기회를 받아들이는 의사결정자의 관점(perspective)이 타당한지를 점검해 보아야 한다.
문제에 관한 정보와 시간이 부족하고, 감정이 개입되기 때문에 문제를 주관적인 입장으로 받아들이면서 문제에 대한 관점과 프레임이 틀어지게 될 가능성이 많다. 그러므로 의사결정자가 가지고 있는 관점과 프레임을 명시적으로 표현한 다음에, 이들 관점과 프레임이 타당한지를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서, 회사의 시장 점유율이 50%를 달성했을 때 “시장 점유율이 50%나 되네” 혹은, “시장점유율이 50% 밖에 안 되네” 라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의사결정의 관점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처럼 동일한 사건이나 사물이라도 사람의 마음, 인지 스타일, 상황에 따라서 서로 다르게 받아들이면서 다르게 행동하고 반응하게 된다. 특히 전략적 의사결정의 특성이 복잡할수록 사람들은 서로 다른 관점에서 받아들일 가능성이 많다.
관점과 프레임을 분석하는 기법으로 문제 범위 확대 기법, 문제 재정의 기법, 다차원 분석 기법, 전후 계획법, Why Method 기법, 문제 재구성 매트릭스 기법, 대안관점 기법 등 많은 기법들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