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simulation

3. 문제와 기회를 입체적으로 분석하라

  • 문제의 원인과 기회의 동인을 분석한 다음에는, 문제와 기회를 보다 다양한 관점에서 입체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 기업에서 해결해야 하는 문제들은 보다 복잡한 특성을 가지고 있고,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이 관여되어 있으며, 불확실성이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문제와 기회를 입체적으로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할 필요가 있다.
  • 문제와 기회를 입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선, 문제와 기회에 관련한 가정, 관점, 이해당사자들을 점검해야 한다.

1. 문제와 기회의 가정을 분석하라

  • 문제와 기회의 특성을 분석할 때는 문제와 기회 속에 숨어 있는 가정들을 찾아내어 타당성을 분석해야 한다. 의사결정자들은 문제해결과 의사결정을 할 때 많은 가정을 하게 되는데, 이들 가정들이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고, 존재한다 하더라도 틀린 가정일 수 있다. 이 때 가정들이 잘못되면 문제해결과 의사결정을 실패하게 된다. 그러므로 의사결정 과정에서 의사결정자가 가지고 있는 가정들이 무엇 인지를 찾아내고, 이들 가정들이 타당한지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 예를 들어서 신제품을 개발할 때, 신제품 관련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신제품 개발이 가능하다고 생각하거나 가정 할 때가 많을 것이다. 이때 신제품 관련 시장이 정말로 성장하고 있는지, 신제품 개발 성공 가능성이 높은지에 대한 가정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문제해결과 의사결정 과정에서 갖게 되는 가정은 크게 개인, 조직, 문화의 세 가지 측면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이들 관점에서 가정의 타당성을 분석해야 한다.

2. 문제와 기회의 관점을 분석하라

  • 문제와 기회의 특성을 입체적으로 분석할 때는 문제와 기회를 받아들이는 의사결정자의 관점(perspective)이 타당한지를 점검해 보아야 한다.

  • 문제에 관한 정보와 시간이 부족하고, 감정이 개입되기 때문에 문제를 주관적인 입장으로 받아들이면서 문제에 대한 관점과 프레임이 틀어지게 될 가능성이 많다. 그러므로 의사결정자가 가지고 있는 관점과 프레임을 명시적으로 표현한 다음에, 이들 관점과 프레임이 타당한지를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 예를 들어서, 회사의 시장 점유율이 50%를 달성했을 때 “시장 점유율이 50%나 되네” 혹은, “시장점유율이 50% 밖에 안 되네” 라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의사결정의 관점이 다르기 때문이다.

  • 이처럼 동일한 사건이나 사물이라도 사람의 마음, 인지 스타일, 상황에 따라서 서로 다르게 받아들이면서 다르게 행동하고 반응하게 된다. 특히 전략적 의사결정의 특성이 복잡할수록 사람들은 서로 다른 관점에서 받아들일 가능성이 많다.

  • 관점과 프레임을 분석하는 기법으로 문제 범위 확대 기법, 문제 재정의 기법, 다차원 분석 기법, 전후 계획법, Why Method 기법, 문제 재구성 매트릭스 기법, 대안관점 기법 등 많은 기법들이 있다.

3. 문제와 기회의 이해당사자를 분석하라

  • 문제의 특성을 입체적으로 분석할 때 문제에 관련된 이해당사자(stakeholder)들을 찾아내고, 이들의 이해관계를 분석해야 한다.
  • 모든 문제에는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이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이 많다. 특히 복잡한 문제들은 문제의 범위가 넓기 때문에 많은 유형의 이해당사자들이 관련될 가능성이 많다.
  • 예를 들어서 전통적인 오프라인 방식으로 제품을 판매하는 기업이 온라인으로 전환하고자 할 때는 수많은 기존 유통 채널들이라는 이해당사자 들하고 갈등이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 이해당사자를 분석할 때는 문제와 기회에 관련한 이해당사자들을 찾아내고, 그들의 이해 관계를 명확하게 분석해야 한다.

▶ 기법 학습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