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디어의 결과를 추정한다는 것은 각 아이디어들을 실행했을 때 예상되는 결과들을 체계적으로 추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아이디어를 실행했을 때 발생하는 결과를 모르는 상황에서는 아이디어를 선택할 수 없기 때문에 아이디어의 결과를 예측하지 못하면 문제해결에 실패할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서 새로운 금융 상품을 개발했을 때 새로운 금융 상품으로 인해 어느 정도의 고객이 확보될 것인지, 매출과 순이익에는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알지 못한다면 아이디어를 선택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러므로 아이디어 결과를 100% 정확하게 추정하기는 힘들지만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해서 아이디어 결과를 정확하게 추정하도록 노력을 해야 한다.
전문가들이 미래를 예측을 할 때 “전문가가 예측하였다”, “컴퓨터로 예측하였다”, 혹은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예측하였다” 라는 표현을 하면서 예측이 정확하다는 것을 강조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전문가도 실수를 할 수 있고,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방법도 사람이 개발하는 것이기 때문에 예측이 틀릴 수 있다는 것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 또한 어떤 기법들도 미래를 정확하게 추정할 수 없기 때문에, 여러 기법들을 병행해가면서 미래를 예측하는 능력을 향상해야 한다. 또한 아이디어의 결과를 주관적으로 추정하는 과정에서는 많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그룹으로 분석을 하면서 예측의 정확성을 높여 갈 필요가 있다.
1. 아이디어 결과를 추정하라
아이디어 결과를 추정하는 방법은 주관적 방법과 객관적 방법으로 나누어 진다 .
주관적 추정 방법은 의사결정자의 판단과 직관, 장/단점 나열법 기법, 이해당사자 대차대조표 기법, 노력/성과표 기법, PMI 기법, 동인요소 기법 시장 조사, 영업 사원 추정 기법, 델파이 기법, 의사결정 나무 기법, Bayesian의 조건 확률 방법, 미래의 수레바퀴 기법, 시나리오 계획 기법 등이 있다.
객관적 추정 방법은 비용 편익 분석 기법, 시계열 기법, 통계분석 기법, 시뮬레이션 기법, NPV 기법, IRR 기법, BEP 기법, 등이 있다.
아이디어의 결과는 미래에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많은 위험과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아이디어를 선택했을 때 아이디어의 결과가 어떻게 될 것인지도 중요하지만 아이디어가 어떻게 변화할 지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아이디어 결과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아이디어의 발생 범위를 추정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서, 신제품을 개발 했을 때, 예상되는 위험은 신제품 개발 가능성, 신제품 개발 기간, 개발 예산, 경쟁사의 전략, 고객의 선호도 등의 수많은 위험 요소들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이들 요인들의 위험 정도를 측정하고 그에 대한 대비를 해야 한다.
아이디어의 결과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일반적 상황, 최악의 상황, 최고의 상황으로 나누어서 분석하면 아이디어 결과가 변화하는 범위를 추정해 볼 수 있다.